The wall of reflection
저 너머, 낙산 (駱山/樂山)
저 너머, 낙산 (駱山/樂山)
This museum preserves the traces of the Changsin-dong quarry, and its historical appearance is displayed. The form itself is the present that embraces the past. The museum looks incomplete at first glance, and it’s fragile. In a way, the building seems to be still unfinished. This design project aims to convey that the past is revealed in the present, and in the present, history begins to speak on its own.
When people enter the proposed museum, they realize that the existing quarry and the newly built museum resemble each other. The numerous roads stretching between the walls here and there are points where the past and the present meet and collide simultaneously. This project considers the process of combining the museum with the context and how to include the past and the present in the environment.
900 x 600 x 1200(mm) Gypsum plaster, MDF Plywood, XPS (Extruded Polystyrene)
1) 도시
낙산-채석장-파괴-창신동
자연 파괴의 과정
= 인간 소외의 과정
거대도시 서울
= 창신동 채석장
새,
새가 날아간다.
무너져 내린 벼랑끝 빈민촌에
구름을 물고 지나간다.
02) 도시
벽-성찰-초월-저 너머
일정 공간을 감싸는
벽은 동굴로서의 세계, 차단과 단절을,
동시에 초월적 공간
초월적 공간이란 벽이 일상적 수준을 초월한다는 의미를 띠며
그것은 벽이 높기 때문이다
벽
에 의해 가로막힌 자는 한계를 느낌과 동시에
이를 뛰어 넘고싶다는 초월을 꿈꾼다
벽은 공간을 감싼다
이는 곧 보호를 의미한다.
벽은 마을이나 집과 같이
어머니를 상징한다
//모성애적 공간
# Note 1
Granite, once carved from the quarry in Changsin-dong, spread its weight across Seoul, rising as buildings. The quarry, dug deep and then forsaken, became home to the wandering and the lost. Seoul stretches wider, more vivid, its lights erasing the night, yet the lamps on its hurried streets stand quietly alone. This sprawling city and the abandoned quarry in Changsin-dong are mirrors of each other.
I see the city through the depths of that quarry. Beneath our feet, we all walk on the ground of Changsin-dong. Before me stands a wall. I dream of transcending disconnection, of reflection over repair. I long to be held, like a mother cradling her wounded child.
창신동 채석장에서 채석된 화강암은 서울 전역에 퍼져 건물이 되었다. 깊이 파인 채석장은 버려졌고 가난하고 갈 곳 없는 사람들이 그곳에 몰렸다. 오늘도 서울은 팽창한다. 도시는 화려해지고 불빛은 어둠을 잊었다, 정신없는 거리에 서 있는 가로등은 쓸쓸하다. 거대 도시 서울과 창신동 채석장은 서로 닮았다.
나는 창신동 채석장을 통해 이 도시를 본다. 우리가 밟고 있는 모든 땅이 창신동 채석장이다. 내 앞의 벽을 보며 나는 생각한다. 복원보다는 성찰을, 단절을 넘어 초월을, 모든 파헤쳐진 상처로부터 어머니처럼 날 끌어안아 주기를.
© 2023. Jin Lee. all rights reserved.